식물성 단백질 총정리 및 효능 알아보기

2022. 8. 9. 15:44건강

 

 

 

오늘날 비건, 채식주의자와 같은 키워드들이 화제가 되면서 식물성 단백질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단백질은 크게 어떤 음식을 통해 섭취하느냐에 따라 동물성 단백질과 식물성 단백질로 나뉩니다. 동물성 단백질은 말 그대로 동물에게서 얻을 수 있는 단백질이며, 식물성 단백질은 식물에 들어있는 단백질입니다.

 

 

 

 

 

 


 

건강과 영양

 

식물성 단백질은 현대인에게 만연한 만성질환을 예방, 관리하는 측면에서 이점이 있다. 동물성 단백질의 예로 소고기, 갈비, 삼겹살, 오징어, 새우 등 식품에는 포화지방과 콜레스테롤이 많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동물성 단백질 식품 비중이 큰 식생활을 오랫동안 유지하면 비만과 고지혈증, 동맥경화증, 심근경색, 뇌경색 등 심뇌혈관계 질환, 위, 대장 등 소화기계 질환 위험이 높아집니다. 

 

 

 

 

 

 

또한 동물성 단백질에는 황 함유 아미노산이 풍부하며 대사 시 산성 대사산물이 많이 생성됩니다. 이를 중화시키기 위해 체내에서는 뼈에 축적된 칼슘을 용해하여 배설하는 반응이 일어나고 골질량 감소가 지속되면 골다공증 발병 위험도 커지는데 식물성 단백질은 이를 예방해줍니다.

 

 

 

 

지구환경

 

전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의 3분의 1을 차지하는 산업 농업은 생태계를 파괴하고 있습니다. 서식지 파괴, 야생 동물 손실, 멸종, 토지 사용, 토양 황폐화, 물 사용, 기후붕괴의 주요 원인 중 하나가 바로 축산업입니다.

 

식물성 단백질 식품은 지구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줄이고 식량 자원을 확보하는 지속가능한 식품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축산업이 성장하고 세계적으로 육류섭취량이 증가하면서 소모되는 자원, 환경에 미치는 영향도 큽니다.

 

 

 

스톡홀름 국제물연구소에서는 물 사용량의 70%가 농축 산업에 쓰이며 대부분이 육류 생산에 소비된다고 지적했습니다.

국제연합식량농업기구에서는 축산업에 사용되는 토지, 가축을 먹일 곡물사료에 사용되는 경작지가 계속적으로 늘어나고 있으며 가축 사육, 축산업로 인한 탄소배출과 메탄 이산화질소 등의 온실가스 배출의 증가를 경고하고 있습니다. 

 

소고기 1kg 생산에 사용되는 물의 양은 40,000리터로 콩 1kg 생산에 사용되는 물의 양에 20배에 달하며, 탄소배출 등 지구온난화 영향도 더 낮습니다. 따라서 단백질 급원 식품으로서 동물성 식품보다 식물성 식품을 이용하는 것은 지구환경측면에서 가치가 있습니다.

 

 

 



건강상, 동물보호 등 다양한 이념을 이유로 채식위주의 식생활을 실천하는 사람들이 늘면서 식물성 단백질 식품은 동물성 단백질 식품에 대한 대체가 되고 있으며 국내외 기업에서 식물성 단백질 식품을 원료로한 대체육 등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우리가 일상에서 쉽게 접하는 두부는 해외에서 식물성 고기로 이용되고 있으며 콩, 두부, 밀 등을 원료로한 대체육제품이
조금씩 생산되고 있으며 실제 고기를 대체하기에 좋은 단백질 급원 식품이 되므로 시장은 확대되고 있습니다.

 

 

 

함유식품

 

식물성 단백질을 함유한 대표 식품으로는 대두, 서리태, 강낭콩, 병아리콩, 렌틸콩 등 콩류와 콩을 가공한 콩식품(두부, 유부, 두유, 낫또, 청국장, 된장, 콩가루, 콩비지 등)이 있으며 땅콩, 호두, 아몬드, 잣과 같은 견과류에도 단백질이 상당량 들어있습니다.

 

반면에 대두, 낫또, 두부 등 식물성 단백질 식품은 동물성 단백질 식품이 지닌 콜레스테롤 과잉 섭취 걱정이 없고 포화지방산이 적습니다. 대신 질환 예방과 생명유지 활동에 중요한 필수지방산을 포함해 불포화지방산을 충분히 함유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식물성 단백질'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동물성 단백질 보다는 영양가도 지키고 환경도 살리는 식물성 단백질 섭취하고 더욱 건강한 생활하시길 바라며 식물성 단백질 식품에 대하여 더 많은 정보를 보시길 원하신다면 위의 블럭을 클릭하여 빠르게 알아보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