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되는 증상과 완화? 다발성 경화증(MS) 초기증상 알아보기

2022. 8. 30. 14:57건강

 

어느 날 한쪽 눈이 침침합니다. 안과를 찾았는데 원인을 알 수 없다는 얘기를 들었습니다. 며칠이 지나니 증세가 호전됩니다. 그런데 몇 주 뒤 극심한 우울증이 찾아옵니다. 하지만 이 역시 며칠 뒤 증세가 금세 사라집니다. 또 몇 달이 흐릅니다. 갑자기 왼쪽 다리에 마비가 옵니다. 제대로 걷기조차 힘듭니다. 이 증상은 또 얼마 뒤 나타났다 사라지기를 반복합니다.

 

이런 증상이 나타나는 질병이 뭘까요? 바로 '다발성 경화증(MS)'입니다.

 

 

 

다발성 경화증은 2020년에 방영했던 '낭만닥터 김사부2'에 나온 김사부가 앓고 있는 질병으로 소개된 적이 있기도 합니다.

 

 

또한 우리나라는 매년 5월 마지막 수요일은 세계 다발성 경화증의 날로 지정함으로서 다발성 경화증이 어떤 질환인지 알리고 질환에 대한 고정관념을 깨고 이 질병으로 고통받는 환자들의 고민을 나누기 위하고자 하는 의의가 있습니다.

 

 

다발성 경화증(MS)이란?

 

 

다발성 경화증(MS)은 진행성 면역 매개 장애입니다.

 

 

즉, 신체를 건강하게 유지하도록 설계된 시스템이 해롭지 않은 신체 부위를 잘못 공격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신경 세포의 보호 덮개가 손상되어 뇌와 척수의 기능이 저하됩니다. 이 질병은 주로 젊은 연령층여성층에서 많이 발생합니다.

 

 

다발성 경화증은 강도가 다양할 수 있는 예측할 수 없는 증상이 있는 질병입니다.

어떤 사람들은 피로와 무감각을 경험하지만 심각한 경우에는 마비, 시력 상실 및 뇌 기능 저하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다발성 경화증의 초기 징후 및 증상

 

 

 

시력문제

 

시력문제는 다발성 경화증의 가장 흔한 증상 중 하나입니다. 염증은 시신경에 영향을 미치고 시력을 방해합니다.

 

 

이로 인해 시력이 흐려지거나 시력 상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때때로 뇌신경이나 뇌간이 관련되어 안구 운동 문제 또는 복시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시신경염, 안진, 복시는 다발성 경화증의 일반적인 시력 증상 3가지 증상입니다. 

 

 

따끔거림 및 무감각

 

다발성 경화증은 뇌와 척수의 신경에 영향을 미칩니다. 척수의 감각 신경은 탈수초에 의해 영향을 받아 무언가를 만질 때 감각이 감소하여 걷거나 손으로 무언가를 하는 능력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감각 이상(무감각, 따끔거림 또는 작열감과 같은 감각)이 있을 수 있습니다.

 

얼얼한 감각와 무감각은 다발성 경화증의 가장 흔한 경고 신호 중 하나입니다. 무감각의 흔한 부위는 얼굴, 팔, 다리, 손가락입니다.

 

 

통증과 경련

 

만성 통증 및 비자발적인 근육 경련 증상도 흔히 볼 수 있습니다. 통증은 탈수초화의 직접적인 결과이거나 2차 통증을 유발하는 증상 자체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근육 경직 또는 경련도 일반적입니다. 뻣뻣한 근육이나 관절뿐만 아니라 사지의 통제할 수 없는 고통스러운 경련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다리가 가장 자주 영향을 받지만 요통도 흔합니다. 다발성 경화증과 관련된 경련의 유형에는 근육이 매우 팽팽하여 구부러져 곧게 펴질 수 없는 굴근 경련과 구부릴 수 없는 신근 경련이 있습니다. 또한 흐릿한 언어 및 삼킴 장애, 특히 후기 단계에서 운동 문제로 인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피로

 

설명할 수 없는 피로는 종종 뇌의 병변 수 및 염증과 관련이 있습니다. 쇠약은 근육 위축(근육 부족 또는 사용으로 인한 수축) 또는 신경 탈수초화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만성피로는 척추의 신경이 악화될 때 발생합니다. 일반적으로 피로는 갑자기 나타나며 몇 주동안 지속되어 개선됩니다.

 

 

균형 문제 및 현기증

 

어지러움과 조정 및 균형 문제는 다발성 경화증 환자의 이동성을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보행에도 당연히 영향을 끼치는데, 다발성 경화증 환자는 종종 현기증 또는 주변이 빙글빙글 도는 것처럼 느낍니다. 이와 같은 증상은 일어설 때 자주 발생합니다.

 

 

 

 

오늘은 다발경 경화증의 초기증상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초기 증상을 확인하신 후 위와 같은 증상이 신체에서 나타난다면 빠른 시일 내에 근처 병원에 내원해보시길 바랍니다.